작성자: 최상식 등록일: 2011-02-18 18:31:46 IP ADRESS: *.30.144.155

댓글

0

조회 수

2068

뉴질랜드 남섬의 서남쪽 피요르드랜드 국립공원에 자리잡은 트레킹 코스 '밀포드 트랙'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길'로 손꼽힌다. 지난 1월 15일부터 24일까지의 뉴질랜드 여행 중 4박5일간 밀포드 트레킹을 체험한 김철우 부산시민등산아카데미 대표의 답사기를 세차례에 나눠 싣는다.

산길은 시작부터 하늘을 가린 울울창창한 숲이다. 나무가 얼마나 큰지 위쪽을 쳐다보아도 끝이 가늠조차 되지 않고 밑동도 우람하기 그지없다.

걸을수록 빠져드는 원시림의 최면 속으로

이끼의 천국이다. 나무 마다 이끼가 덮었고 숲 속은 맨 땅까지 온통 이끼다. 여러 꼴의 이끼가 나무를 뒤덮어 모든 나무가 고목처럼 보인다. 숲 속 길만은 검은 흙이 잘 다져졌다. 줄기에 붙은 이끼를 눌러보니 손가락 두 마디가 쑥 들어간다.

등산은 봉우리라는 하늘에 맺힌 점을 향해 가는데 트레킹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선을 따라 이동한다. 트레킹은 이동이 끝날 때까지 뚜렷한 절정은 없지만 이어지는 즐거움과 감격에 오랫동안 휩싸인다.

숲이 얼마나 짙은지 햇볕까지 걸러진다. 우리를 지배하던 감성과 이성의 팽팽한 균형이 슬며시 무너진다. 한없는 부드러움이 봇물처럼 밀려들면서 야릇한 쾌감의 환상에 빠져든다. 시원한 그늘에서 즐기는 한여름의 낮잠 같은 그런 시간을 이 숲이 안겨준다.

밀포드 트레킹은 테아나우 호수의 선착장에서 시작해 다시 배를 타야하는 다른 선착장까지 57.4㎞다. 첫날은 선착장서 산장까지 1.2㎞를 가서 숙박, 둘째 날은 다음 산장까지 16㎞, 셋째 날은 그 다음 산장까지 19.6㎞, 넷째 날은 종착지인 선착장까지 21.6㎞다.

한국의 둘레길은 큰 산 기슭을 빙 도는데 밀포드 트레킹 57.4㎞는 천야만야한 직벽의 바위산과 바위산이 마주보는 협곡을 걷는다. 호수 선착장에서 내리자마자 긴 사각형 통에 소독약물이 있다. 누구든 이 통에 신발을 소독해야 한다. 세계 각국에서 온 여행객들로부터 묻어올지 모르는 풍토병을 예방해 숲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크린턴이란 강에 걸린 출렁다리를 건너는 것으로 본격적인 트레킹의 막이 오른다. 숲 길은 걸을수록 강렬한 원시성의 최면에 빠진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 온다고 하는데 풀은 겨울에도 죽지 않는지 대단히 크고 무성하다.

트레킹 넷째 날은 비가 내렸다. 안개와 비에 젖어 어둠침침해지자 숲은 햇볕이 쏟아질 때와는 전혀 다른 풍경이다. 키 큰 고사리 등 양치류까지 숲을 이뤘고 덩치 큰 풀, 이끼 덮은 채 하늘로 뻗은 어마어마한 나무, 이끼가 감싼 채 넘어져 즐비하게 널려있는 고목.

영화 '쥬라기 공원'의 숲이 풋풋하게 살아나고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움직이는 나무가 금방 눈 앞에 나타난다. '아바타'의 주인공들이 괴상한 새를 타고 훨훨 날아다닌다. 괴기롭고 음산한 원시의 숲은 온갖 환영과 착각으로 눈앞에서 일렁댄다.

숲길 만이 아니다. 숲 없는 빈터, 강이나 냇가도 정말 위대한 풍광에 어리둥절하게 된다. 셋째 날은  
부산시민
등산아카데미
김철우 대표
1,154m의 봉우리를 오르는데 길이 야생화가 만발한 풀밭 기슭에 지그재그로 나있다. 산길 앞은 눈을 인 봉우리가 홀립하고 아래편 골짜기는 짙은 숲, 호수, 내가 어울려 끝 간 데 없다.

이 곳 숲에는 소나무나 참나무류가 보이지 않는다. 새는 있지만 산돼지나 곰 토끼 등 짐승이나 뱀 개구리도 없다. 포유류는 박쥐 뿐이란다. 이 트레킹 코스는 뉴질랜드 피요르드랜드 국립공원에 포함돼 있는데 하루 50명만이 걸을 수 있다. 산길에는 담배꽁초나 비닐, 종이 조각 하나 없다. 이곳 숲길은 너무 정갈하고 엄숙해 먹던 과일 씨까지도 싸서 주머니에 넣게 된다.

신비롭고 아름다운 숲에 샌드플라이라는 날파리 같은 게 사람 피를 빨아먹는데 물린 곳을 긁으면 며칠동안 무척 가렵다. 아름다운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인간의 접근을 막으려는 신의 섭리인가. 하지만 선과 선을 이동하는 유쾌함이 추억으로 여울지는 밀포드 트레킹이다. 밀포드 트레킹 문의 산정산악회 김홍수 011-488-88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0 대전둘레산길 개념도 + 2 file 심산 2010-12-17 1428
59 우이령길 개방 + 6 file 심산 2009-07-10 1533
58 [TMB] 한글자료 안내 + 3 file 심산 2009-08-23 1562
57 태안반도 해변 감상길 조성 + 2 김주영 2011-03-15 1589
56 제주올레의 영향을 받아 개척되고 있는 길들 + 5 심산 2009-07-03 1622
55 태안해안~서산절길 file 최상식 2009-07-04 1623
54 강원도 강릉바우길이라고 들어봤어? + 5 file 심산 2010-11-18 1630
53 서산 아라메길.. + 5 박선주 2010-11-18 1641
52 남양주 다산길 + 2 file 김신희 2011-02-11 1651
51 동두천 송월관 file 심산 2012-10-11 1689
50 광주 무등산 무돌길 + 3 file 심산 2012-01-10 1701
49 왕피천 생태탐방로~ + 3 file 윤석홍 2011-03-28 1714
48 상식이의 제주올레 실제 운행시간이니 참조하세요^^* + 9 최상식 2009-04-29 1723
47 [CS/TMB] 맨먼저 읽어야될 책은... + 15 심산 2009-07-22 1751
46 맛객과 함께 하는 2011미식기행 2탄 '목포' + 7 이승훈 2011-02-18 1766
45 아말피 해안길(이탈리아) + 6 file 최상식 2011-02-18 1785
44 국내산행정보-설악산 공룡능선 + 1 file 최상식 2008-04-23 1823
43 제주 올레코스 개관 + 9 심산 2009-04-14 1867
42 도곤 컨트리 (말리) + 1 file 최상식 2011-02-18 1901
41 존 뮤어 트레일 관련 단행본 + 5 file 심산 2009-08-23 1908